▲노박 조코비치
노박 조코비치(Novak Djokovic, 33ㆍ세르비아)가 세계 4대 메이저 테니스 대회 중 하나인 ‘2020 호주오픈’에서 통산 8회 우승 금자탑을 쌓았다. 이와 함께 그가 받을 ‘호주오픈 우승상금’에 관심이 쏠린다.
노박 조코비치는 2일(한국 시간) 호주 멜버른에서 열린 호주오픈 결승전에서 도미니크 팀(Dominic Thiem, 27ㆍ오스트리아)을 세트 스코어 3-2(6-4, 4-6, 2-6, 6-3, 6-4)로 제압하고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조코비치는 앞서 7회로 호주오픈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었다. 올해 대회 제패로 이 기록을 8회로 늘렸다.
The king has returned 👑
— #AusOpen (@AustralianOpen) February 2, 2020
After almost four hours, @DjokerNole def. Dominic Thiem 6-4 4-6 2-6 6-3 6-4 to claim his eighth Australian Open crown.#AO2020 | #AusOpen pic.twitter.com/EJOKBy040s
아울러 조코비치 '메이저 대회 우승 횟수'는 통산 17회가 됐다. 19회 우승자(2위) 라파엘 나달(Rafael Nadal, 34ㆍ스페인)을 2회 차로 추격했다.
이 부문 1위는 20회 우승 기록을 보유한 로저 페더러(Roger Federer, 39ㆍ스위스)다.
Where have we seen this before 👀
— #AusOpen (@AustralianOpen) February 2, 2020
For the 7️⃣5️⃣th time and the 8️⃣th time on the second Sunday...✍️ @DjokerNole | #AO2020 | #AusOpen pic.twitter.com/9UVkzmXKnh
조코비치는 남자 프로 테니스(ATP) 세계랭킹에서도 나달을 누르고 1위로 올라섰다.
조코비치가 ‘호주오픈 우승상금’으로 챙길 돈은 자그마치 420만 호주달러다. 우리 돈 33억5780만 원에 달하는 엄청난 금액이다.
Giving credit where credit's due 💯@DjokerNole thanks opponent Dominic Thiem for the memorable battle.#AO2020 | #AusOpen pic.twitter.com/txDnaqLiP5
— #AusOpen (@AustralianOpen) February 2, 2020
누적 상금(통산 상금)에서도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테니스 전문 매체 ‘tennis365.com’에 따르면 조코비치는 프로 데뷔 이래 2018년 12월까지 무려 1억2577만2589달러(약 1502억3535만 원)를 벌어들였다.
‘protennislive.com’은 조코비치가 2019년까지 1억4022만8279달러를 벌었다고 추정했다. 무려 1675억267만 원에 달하는 엄청난 액수다. 이는 역대 상금 랭킹 1위다.
2위는 로저 페더러로 1억2923만1891달러(약 1543억6750만 원)다. 3위는 라파엘 나달이다. 1억2022만2286 달러(약 1436억550만 원)로 집계됐다.
High fiving an eight-time #AusOpen champion? Yes please 🙌@DjokerNole | #AO2020 pic.twitter.com/fjgyXhGWTl
— #AusOpen (@AustralianOpen) February 2, 2020
'사회 문화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영상] ‘휴점’ 롯데백화점 본점, 매출 손실만 수백억? 메르스 땐 어땠나… (0) | 2020.02.07 |
---|---|
[동영상] ‘일본 크루즈 코로나’ 승객 촬영 영상 보니… 긴박한 상황 ‘충격’ (0) | 2020.02.07 |
[동영상] 중국인 코로나 환자, 제주 연동 플로라호텔 투숙…동선 보니 ‘충격’ (0) | 2020.02.02 |
[동영상] 우한 폐렴 국내 12번째 확진자, 신고 안하고 부천 활보한 이유는? (1) | 2020.02.01 |
[동영상] ‘미국 독감’ 사망자 8만명, 3개월간 970만명 감염…갑자기 뜬 이유는? (0) | 2020.02.01 |